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추모글 남기기


1.  연면적?

    "연"은 한자로 이을 "연"자 입니다.

    바닥 면적을 층별로 합쳐 놓았다(이어 놓았다)는 소리 입니다.

    지하층도 있으면 지하층부터 시작해서 지상에 있는 모든 층의 면적을 합해놓은 것이 연면적 입니다.

     다만, 용적률에서만 지하층은 빼고 계산을 합니다.

 

2.  바닥면적?

     한 층의 바닥 면적을 말합니다.   전체적인 연면적과는 달리 평균적으로 한 층의 바닥면적이 얼마인가?를 계산한 것이 바닥면적 입니다.

     층별로 모두 바닥면적은 같은 것이 보통이기는 하지만 다를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옥상이나 최상층은 좀 다를 수 있으니 다르면 평균적인 면적으로 따질 것입니다.

 

3.  건폐율?

     "폐"는 덮을 "폐"자로 건물이 땅을 얼마나 덮고 있는가?하는 비율 입니다.

      토지를 100으로 잡았을 때, 건물이 얼마나 토지를 차지하고 있느냐?는 비율을 건폐율이라고 합니다.

      만약 70%라고 하면 토지를 100으로 잡았을 때 건물이 70의 비율로 덮고 있다(차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4.  용적율?

     "적"은 쌓을 "적"자로 건물을 얼마의 비율로 쌓을 수 있느냐(건축할 수 있느냐?)는 비율을 말합니다.

      그래서 건폐율을 수평적인 제한이라고 하고, 용적률은 수직적인 제한이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아무리 자기 땅이라고 바닥면적이나 층수를 마음대로 할 수는 없거든요.

      공익 목적이라는 구실로 제한(불이 나면 여러 사람이 죽을 수도 있으니)을 하고 있습니다.

 

5.  대지권비율?

     공동주택은 그 밑에 있는 토지는 여러 사람이 함께 일정한 비율로 소유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비율을 대지권이라고 표현하며, 일정한 지분의 몫을 대지권 비율이라고 합니다.

      쉽게 대지는 "토지"라고 생각하시고, "권"은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혼자만의 땅이 아니니 일정한 비율로 가지고 있어서 대지권 비율이라고 하게 됩니다.

Posted by Kelly Cook
,
나에겐 신용 카드가 하나 있다..
만들때 아는 여자 애가 반 협박해서 만들었는데, 좋은 점이 하나 있다..
페미리 레스토랑 청구 할인이 된다는거..
청구 할인이 되면 통신사 할인과 중복이 가능하다..
즉 10만원어치 먹었다면 통신사할인.. 15%인가?? 10?? 20?? 대충 15%로 잡고 15000이 할인 된다.
남은 85000을 마이원 카드로 결제를하면 85000의 20% 인 17000이 다시 할인이 된다.
그래서 10만원 어치를 먹으면 총 결제 금액은 68000원이 된다. 청구할인은 즉시 할인은 아니고, 카드 청구서에 85000원이 결제된후 다시 17000원을 돌려준다.
단, 이용횟수 및 한도 : 통합 월 1회, 연 6회, 회당 최고 2만원까지 할인이 되고, 이용시점 기준 최근 3개월간 국내 신판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 이여야 한다..
최근에 내가 몇번가고 남 몇번 빌려 줘서 벌써 한도 가까이 와버렸다..
하여튼 마이원 카드의 혜택에 대해 기술해보자..


영화
  • CGV, 프리머스, 롯데시네마 4,000원 할인
  • 전국 CGV, 프리머스시네마, 롯데시네마 극장 및 각 사 홈페이지(www.cgv.co.kr,
    www.primuscinema.com, www.lottecinema.co.kr)에서 4,000원 이상 결제시
    ※ 단, 프리머스 청주, 광주상무, 안산중앙점 및 기타 예매사이트 이용시 할인 제외
    - 이용횟수 : 극장 통합 월 2회, 연 8회
    - 최근 3개월간 국내 일시불/할부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인 카드 대상
      (단, 카드발급 후 3개월간은 이용금액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
    - 할인금액은 카드 결제일에 할인청구

    ※ 상품권 구입시 할인 불가
외식
  • 아웃백스테이크, VIPS, 마르쉐, 씨즐러, 베니건스, TGIF 20% 할인
  • 전국 아웃백스테이크, VIPS, 마르쉐, 씨즐러, 베니건스, TGIF 매장 이용시
    (단, 대형할인점, 백화점 입점 점포는 할인 제외)
    - 이용횟수(한도) : 피밀리레스토랑 통합 월 1회, 연 6회(회당 최고 2만원까지 할인)
    - 최근 3개월간 국내 일시불/할부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인 카드 대상
      (단, 카드발급 후 3개월간은 이용금액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
    - 할인금액은 카드 결제일에 할인청구

    ※ 상품권 구입시 할인 불가
커피
  • 스타벅스, 커피빈 20% 할인
  • 전국 스타벅스, 커피빈 매장 이용시
    (단, 대형할인점, 백화점 입점 점포는 할인 제외)
    - 이용횟수(한도) : 커피전문점 통합 월 2회, 연 12회(회당 최고 5천원까지 할인)
    - 최근 3개월간 국내 일시불/할부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인 카드 대상
      (단, 카드발급 후 3개월간은 이용금액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
    - 할인금액은 카드 결제일에 할인청구

    ※ 상품권 구입시 할인 불가
도서
  •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Yes24 3% 할인
  • 전국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매장 및 각 사 홈페이지(www.yes24.com,
    www.kyobobook.co.kr, www.ypbooks.co.kr, www.bandibook.com) 이용시
    - 이용횟수(한도) : 서점 통합 월 1회, 연 12회(회당 최고 5천원까지 할인)
    - 최근 3개월간 국내 일시불/할부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인 카드 대상
      (단, 카드발급 후 3개월간은 이용금액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
    - 할인금액은 카드 결제일에 할인청구

    ※ 상품권 구입, 인터넷 P/G업체로 승인시 할인 불가
놀이공원
  • 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등 자유이용권 50% 할인
  • 에버랜드 등 전국 주요 놀이공원에서 할인금액 이상 결제시
    - 이용횟수 : 놀이공원 통합 월 1회, 연 12회
    - 최근 3개월간 국내 일시불/할부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인 카드 대상
      (단, 카드발급 후 3개월간은 이용금액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
    - 할인금액은 카드 결제일에 할인청구(단,전주시 동물원, 통도 환타지아는 현장할인)
놀이공원 서비스
에버랜드(캐리비안베이),
롯데월드, 서울랜드,
대전꿈돌이랜드, 경주월드,
대구우방타워랜드, 통도환타지아
자유이용권 50% 할인
(결제1인 대상)
- 캐리비안베이는 에버랜드기준 적용
- 거래금액이 할인금액 이상인 경우 서비스 제공
광주패밀리랜드 11,000원 할인
전주시동물원 본인무료입장 현장할인
해외로밍
  • 해외로밍 휴대폰 임대료(일 2,000원) 할인
포인트
  • 국내 신용판매 이용금액의 0.2% TOP포인트 적립
  • 적립기준 : 국내 일시불/할부 이용금액
    - 해외이용분, 현금서비스 및 수수료 금액은 적립 제외
    - 연체 및 거래정지시 마일리지 전체 미적립
  • 포인트 유효기간 : 5년
    - 유효기간 경과시 적립월별로 자동 소멸
금융
  • 신용카드 연계상품 가입시 각종 금융거래 우대
  • 연계상품은 농협영업점으로 문의
후불교통카드
  • 편리하게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합니다.
  • 후불제 교통카드 기능(신청회원에 한함)
  • 후불교통카드 발급으로 인한 추가 연회비 및 발급수수료 면제
Posted by Kelly Cook
,
http://blog.naver.com/ttma0242?Redirect=Log&logNo=20058372278

호반길과 오솔길의 낭만적이 조우
한강의 조화가 꿈틀거리는 두물머리에서 시작해, 산중 오솔길과 풋풋한 호반길을 두루 걸치는 양평가도, 수도권 사람들에게 인기만점의 드라이브 코스다.

두물(양수)이 만나 큰물(한강)을 이루고, 그 사이로 너른 들판과 산자락이 자리잡은 양평 땅, 차 있는 사람은 한 번쯤 달려봤을 대표적인 서울 근교 드라이브 코스다. 물길따라 그림 같은 강변길이 펼쳐지고, 산자락마다 그윽한 휴양림과 쉼터가 조성돼 있다. 양평 드라이브 코스는 양수리를 기점으로 해서 동으로는 남한강변, 북으로는 북한강을 향해 뻗어 있는 천혜의 호반길. 보통 남한강변은 양평읍을 거쳐 이포대교까지. 북한강변은 대성리 너머 청평댐까지 달리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코스를 길게 잡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양수대교를 건너 남한강 북단을 따라 시원스레 뚫린 6번 국도를 내달리다, 중미산 휴양림으로 향하는 농다치 고개로 들어서면 아기자기한 산길이 펼쳐진다. 중미산 중턱에서 '예술가 집성촌'이라는 서종면 시골길을 내려오면, 다시 아리따운 북한강변을 만난다. 여기에서 양수리까지는 상수도법이 적용되는 구간,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시야가 강변가도에 탄력을 더해준다. 청계산을 중앙에 놓고 양평군의 강변 마을과 산길, 시골길을 두루 달릴 수 있는 천혜의 드라이브 포인트.
6번 국도를 타고 양수대교를 건너 두물머리부터 들러보자. 다리를 건너자마자 양수리 방향으로 내려가서 'U턴'해야 한다. 크게 볼 만한 것은 없다. 오래 된 수령의 느티나무 몇 그루만이 고요한 강물과 조우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게 바로 두물거리의 매력이다. 커다란 느티나무 아래에 앉아 잔잔한 강변을 바라보자. 그 느낌은 연애중인 커플들이라면 꼭 한 번 느껴봐야 할 일. 주말이면 웨딩 촬영과 상춘객들로 붐비는 게 예사이니, 이른아침이나 평일 저녁에 가는 게 좋다. 이곳 또한 물안개 강변으로 유명한데, 연중 200일 이상 안개가 낀다. 커플들을 위한 또 하나의 코스는 중미산 휴양림, 진입로에 들어서자마자 잣나무, 낙엽송, 은행나무가 울창한 터널을 만들어주고 숲 사이로는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룬다. 휴양림 입구 바로 옆에는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중미산 천문대가 있는데, 매일 저녁마다 '별 보기 프로그램'이 있어 이벤트가 있는 데이트 코스로 그만이다.

중미산에서 서종면을 가로지르며 내려오는 길은 양평의 예술가촌, 서울에서 빠져나온 화가, 도예가들이 운영하는 갤러리와 카페, 펜션 등 운치 있는 쉼터가 즐비하다. 그래서 북한강을 끼고 도는 서종면 강변길은 한국관광공사에서 '국내 드라이브길10선'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한강의 조화를 생생하게 바라볼 수 있는 두물거리에서 시작해 산중 휴양과 예술의 멋까지 품고 있는 양평가도는 그래서 늘 사람들로 붐빈다.

Drive info.
찾아가는 길 올림픽대로를 탁 미사리 카페촌을 지나 팔당대교를 넘는 게 일반적 교통 체증이 예상되는 길이기는 하지만, 이 길이 가장 편하다. 6번 국도를 타고 양수대교를 건너 직진하다 옥천 마을에서 좌회전, 351번 국도를 탄다. 다시 삼거리에서 37번 국도를 타면 중미산 휴양림 가는 길. 초행길이라도 이정표를 보며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기만 하면 무난히 갈 수 있다.

Drive Focus
정체 구간 주말이나 공휴일 양수리에서 양평 가는 6번 국도는 으레 막히기 마련. 이때는 팔당댐을 거쳐 남한강 남단길을 탄 다음 퇴초~양근대교~양평을 거쳐 중미산으로 올라가는 게 좋다. 서울로 돌아오는 길도 마찬가지. 남한강 남단길을 타고 양평에서 퇴촌 근처까지 나와, 중부고속도로를 타고 서울로 들어오는 방법도 있다.샛길 북한강 동쪽 길인 363번 도로가 막힐 때, 문호리에서 청계산 서쪽 팔당공원묘를 거쳐 수릉리~부용리~양수리에 이르는 샛길을 이용하는 게 좋다.

Drive Plus
ㆍ최고의 드라이브길로 치는 양평 남한강변길은 자유자재로 코스를 짤 수 있다. 팔당대교에서 구 6번 국도로 빠져 팔당댐을 건너면 광주시 퇴촌으로 이어진다. 퇴촌에서 이포대교까지 가는 남한강 남단길 또한 인기 만점의 드라이브 코스다.
ㆍ중미산 휴양림에서 좌회전하지 않고 직진하면 가평 가는 길. 37번 국도를 타고 청평댐까지 올라가서 다시 북한강 동쪽 코스를 타고 양수리까지 내려오는 길은 가장 일반적인 드라이브 코스.


[먹을거리]
품격 있는 전원 갤러리 갤러리 서종
갤러리 서종은 전원에 자리한 복합 문화공간. 깔끔한 실내에 정갈한 테이블, 운치 있는 야외 테라스가 자리잡고 있다. 건축물 자체도 볼거리. 산과 강이 어우러져 풍광이 뛰어난 자리에 아름다운 건축미를 자랑한다. 재미 건축가 최두남씨가 설계한 이곳은 넓은 개울과 탁 트인 공간 속에 푸른 물과 산과 나무가 숨쉬는 아름다운 화랑, 때문에 건축 전문 잡지에도 여러 번 소개됐다. 가끔 비워져 있을 때도 있다. (031-774-5530 09:00~21:00 차5,000~7,000원)

꽃, 도자기, 차기 있는 카페 첫나들이
산중에 자리잡은 스타일리시한 카페. 중미산 휴양림에서 서종면 쪽으로 내려가자마자 왼편에 있다. 주로 차를 마시는 공간이며 생활도자기, 아트플라워, 인테리어 소품을 판매한다. 서종면에서 작업하는 젊은 작가들의 작품으로, 멋과 개성이 있다. 야외 데크로 나가 도장계곡의 맑은 물소리를 들으며 티타임을 갖기에도 좋다. 머그컵 2만~3만원, 포프리는 1만원 선에 판매.(031-774-5174 10:00~20:00 에스프레소 4,500원) 
Posted by Kelly Cook
,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땐 잘해보려는 맘이 있었지만, 역시나 열정부족..
시간 부족이라는 이유로 엉망징창 블로그..
자료를 수집하려고해도 잘안되고, 막상 수집해도 보는건 그때뿐이고..
옆에 배너만 잔뜩 달아놓고..
오늘도 두개 더 달았는데..
하나는 방문자 국가별로 방문한사람 나오는 것, 하나는 국가, 시간대등 이런저런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건 클릭해서 들어가야한다)..
신기해서 달아놓긴했는데..ㅋㅋ
근데 첨엔 한글만 잔뜩이라 누가 들어오겠냐 했는데, 미국이랑 일본에서 접속했네..ㅋ
이제 글로벌 블로그로 거듭날까??ㅋㅋ
프로그램을 참고하러왔나.. 뭐 별거 없는데..
하여튼..
이놈의 블로그는 남의 글이나 복사하고, 제대로된 포스팅은 하지도 않고, 정리도 엉망징창..
가끔 정리할까 하다가 몇몇 글읽으며 생각에 빠지고..ㅋㅋ
모르겠다........
Posted by Kelly Cook
,

 메뚜기족- 불경기와 실업난을 뚫고 입사했지만 더 나은 조건이나 적당한 곳을 찾아 직장이나 자리를 이리저리 쉽게 옮겨 다니는 무리. 특히 한 직장에서 1년 미만 근무하고 이러 저리 옮기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캥거루족 - 대학을 졸업해 취직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취직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 살거나, 취직을 했다고 하더라도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젊은 세대를 말한다. 어쩔 수 없이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아니라, 취업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고 부모에게 빌붙어 사는 철없는 젊은이들도 여기에 해당한다

 니트족 - 학생도 아니고 직장인도 아니면서 구직활동을 아예 포기하고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집단을 일컫는다.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의 준말로 우리말로는 ‘무업자’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일할 의욕이 있지만 일자리가 없어 취업을 하지 못하는 ‘실업자’에 비해 무업자는 일할 의사가 없는, 의욕상실의 젊은이들을 뜻한다.

 여피족젊음(young), 도시형(urban), 전문직(professional)에서 나온 말로, 도시나 그 주변을 기반으로 하여 지적인 전문직에 종사하는 젊은이를 가리킨다. 이들은 가난을 모르고 자란 세대 가운데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고 도시 근교에서 살며 전문직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이다. 1984년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의 게리 하트를 일시적으로 크게 부상시킨 원동력이 이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노스족노노스족은 명품 브랜드가 대중화되자 아예 브랜드를 없애고 디자인을 차별화한 제품을 즐기는 계층을 일컫는 것으로 노노스는 ‘노 로고(No Logo), 노 디자인(No Design)’의 줄임말이다. 지난 해(05년??) 프랑스 패션회사 넬리로디가 처음 이 단어를 사용한 이후 패션, 인테리어 업체들이 이들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레스토랑, 주류 업체에서도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고 있다. 명품을 노출시키는 전략에서 아예 브랜드를 없애고 디자인을 차별화한 것이 이들의 가장 큰 특징이다. 브랜드보다는 디자인, 소재 등 실용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딩크족- DINK, Double Income No Kids의 약칭. 미국에서 유래된 딩크족은 정상적인 부부 생활을 영위하면서도 의도적으로 자녀를 두지 않는 맞벌이 부부를 말한다.

 통크족- TONK族, Two Only No Kids의 약자로 장성한 자녀는 있지만 의존하지 않고 취미 운동 등의 여가생활로 부부만의 인생을 즐기는 중년세대를 일컫는다.

 네스팅족- 사회적인 성공보다는 단란한 가정을 중시하는 젊은 직장인들. ‘칼퇴근’하고 고속 승진을 기피한다. 치열한 사회활동과 개인주의 성향, 서구화 등으로 인해 가정 본래의 의미가 퇴색하고 해체의 기미까지 보이는 데 대한 반발 심리와 최근의 여가 중시 풍조가 겹쳐 새로 등장했다

 나토족- NATO족, No Action Talking Only. 직장생활을 하면서 독자적인 사업 구상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을 빗대어 이르는 말. '말은 많지만 행동은 그게 아니다'라고 해서 이름 붙여진 것. 즉, 말만 늘어놓고 실제로 하는 일은 없는 사람을 뜻하며 맨날 사표 내겠다고만 하고 실제론 그렇지 못한 직장인도 여기에 포함됨.

 배터리족- 30대 초반에서 중반의 좀더 나은 미래를 위해 재충전중인 사람들이 5~10년 직장생활을 하다가 부도나 해고, 희망퇴직 등으로 회사를 그만 둔 가장들이 주축을 이룬다. 유학이나 자격증에 도전하거나 퇴직금으로 창업을 준비중이다.

 모잉족- moeng, ←mobile English族. 학교를 오가거나 출·퇴근할 때 등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휴대전화로 영어공부를 하는 사람들.

 다운 시프트족(downshift 族)- 고소득이나 빠른 승진보다는 비록 저소득일지라도 여유 있는 직장생활을 즐기면서 삶의 만족을 찾으려는 사람들. 따라서 이들은 금전적 수입과 사회적 지위·명예보다는 시간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직장생활에서도 해외연수나 인센티브, 능력별 승급제보다는 안식년 휴가제를 선호한다.

 잡노마드족(jobnomad 族)-
직업(job)을 따라 유랑하는 유목민(Nomad)이란 뜻의 신조어.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일을 좇아 이곳저곳 직장을 옮겨야만 하는 일종의 ‘사회적 부작용 현상’으로 이해된다.


 프리터족(freeter族)- ‘프리’와 ‘아르바이트’가 합쳐진 말. 백수이면서 아르바이트를 해서 약간의 돈도 버는 젊은이들을 뜻한다. 직장에 들어가기보다는 아르바이트를 해서 생활비를 벌면서 나머지 시간은 자유롭게 생활하는 사람들이다.

 갤러리맨-
갤러리와 샐러리맨의 합성어로, 일에 몰두하지 않고 주인의식도 희박한 직장인을 골프 경기의 관객인 갤러리에 비유한 표현.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내에서는 승진이나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는 꿈을 포기하고, 언젠가는 자신에게 맞는 일이 나타날거라 생각한 뒤 그러한 이상향을 찾아 떠나려하는 직장인을 갤러리맨이라 함.

 소주파- 무색무취’라는 뜻에서 뚜렷한 정치적 색깔 없이, 물에 술 탄 듯. 술에 물 탄 듯한 처세술을 펼치는 부류를 말한다. 한마디로 눈 막고, 귀 막고, 입을 다물면서 ‘삼불(三不)’ 자세로 직장생활 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Posted by Kelly Cook
,